서브상단 글자

順天鄕大學 孔子學院
中國學研究所

학회지

투고규정

HOME     학회지     투고규정

컨텐츠 내용입니다.


『沽山中國學報』 논문 투고 및 원고 작성 규정



『沽山中國學報』는 순천향대학교 공자아카데미 중국학연구소의 정기 간행 학술지로서 중국학 전반에 대한 학문 연구를 목적으로 매년 2월 (발행예정일 2월 28일), 그리고 8월 (발행 예정일 8월 31일) 연 2회 발행되며, 논문 투고와 원고 작성 규정은 아래와 같다.



Ⅰ. 논문투고 요령


1. 종류: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 분량의 연구논문 및 역주, 원고지 70-100매 내외의 서평 또는 새로운 문헌 및 자료의 개관
2. 원고의 제출 방법 및 제출기한

1) 원고 제출 : 아래아한글 2002 버전 이상으로 작성된 논문 파일을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http://submission.schcisc.or.kr/Login)에 등록하거나 중국학연구소 전자 메일(schcisc@gmail.com)을 통해 발송
2) 제 출 처 : 우)31538, 충남 아산시 신창면 순천향로22(순천향대학교) 공자아카데미 중국학연구소
전화 : 041-530-1536, 팩스 : 041-530-1790
전자메일 : schcisc@gmail.com
3) 제출기한 : 8월 31일 발행(7월 31일까지), 2월 28일 발행(1월 31일까지)
4) 주의사항 : 투고논문에는

ⅰ) 간단한 필자소개(전공분야, 주요 관심분야, 현재 직책 등)를 명기한다.
ⅱ) 영문초록(Key Words 포함)과 국문요약(주제어 포함)을 첨부한다.



Ⅱ. 원고작성 규정

1. 개요

1) 투고문은 아래아 한글로 200자 원고지 150매 전후로 작성한다.
※ 분량을 초과하면 학술지 1쪽 당(200자 원고지 5매) 1만원의 초과료를 추가 납부해야 한다.
2) 본문은 국문이나 외국어로 작성하되,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을 붙이고 각각 국어와 영어로 5단어 내외의 주제어를 첨부한다.
3) 본문에서 장은 Ⅰ, Ⅱ, Ⅲ ..., 절은 1, 2, 3 ... 으로 하고 항은 1), 2), 3) ... 의 순서로 배열한다.
4) 연구비 출처나 논문의 발표 사실은 본문 1쪽의 각주란에 별표(*)로 표시.
5) 제1 저자는 별표 하나(*)로 표시하고, 제 2저자는 별표 2개(**)로 구분하여 순차 병기한다.
6) 각주 및 참고문헌에서 동양서의 경우 단행본과 논문을 표기할 때 논문에 표기된 ‘간격 있는 꺽쇠기호’「」, 『』가 아니라 ‘간격 없는 꺽쇠 기호’ 「」, 『』를 사용한다. 「논문」, 『단행본』이 아니라 -> 「논문」, 『단행본』을 사용할 것.

교정쇄는 필자에게 1회 혹은 2회에 걸쳐 전달된다. 교정은 전적으로 필자의 책임으로 이루어지며, 내용의 오류로 필자가 입은 피해에 본 연구소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


2. 각주

각주에서 서양어의 경우 저자 표기는 이름, 성의 순서로 표기하고, 동아시아어의 경우 성, 이름의 순서로 표기한다.

1) 동양서: 저자, 「논문제목」, 『책제목』, 출판사(지), 발행연도, 인용쪽
* 박성래, 『한국과학사상사』, 책과함께, 2012, 52쪽.
* 이은순, 「日帝時代 農村女性의 生活과 民間信仰」, 『國史館論叢』83, 1999, 45쪽.
* 徐文明, 『十一世紀的王安石』, 北京, 2007, 179쪽.
* 洪秋芬, 「1920年代臺灣保甲制度和社會運動關係初探」, 『中國歷史學會史學集刊』26, 1994, 125-138쪽.

2) 서양서: 저자, “논문제목”, 책제목(이탤릭체), 출판사, 인용쪽(p., pp)
* Walter Lipgens(ed.), Documents on the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Vol.1, 1985, p.53.
* M. Malowist, “Poland, Russia and Western Trad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Past and Present. Vol.13, 1958, pp.28-41.
* Morris Rossabi, “The Decline of the Central Asian Caravan Trade,” J. D. Tracy (ed.), The Rise of Merchant Empires. Long-Distance Trade in the Early Modern World, 1350-1750 , Cambridge, 1990, pp.351-370.

3) 번역서: 저자(역자 역) 『책제목』, 출판사, 연도, 인용쪽.
* 모리스 돕(김대환 역), 『자본주의 발전연구』, 동녘, 1986, 30-31쪽.

4) 동일 저자의 책이나 논문이 두 번 이상 인용될 경우 동서양의 저술 모두 ‘앞의 책’, ‘앞의 논문’, 'Ibid'로 줄여서 표기한다.
* 최갑순, 『中國의 城隍 信仰』, 2018, 443-462쪽.
-> 최갑순, 앞의 책, 445쪽.
* 임영상, 「동방정교회의 역사적 전개」, 『중국사학사』12, 2000, 631-651쪽.
-> 임영상, 앞의 논문, 445쪽.
* F. Braudel, F. Spooner, “Price in Europe from 1450 to 1750,”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Europe. Vol.4: The Economy of Expanding Europe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 Cambridge, 1967, pp.374-486.
-> F. Braudel, Ibid, p.432 참고.

※ 이상에서 명기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편집에 용이하도록 통일된 원칙에 따라 논문을 작성한다.

 


3. 참고문헌

1) 먼저 자료의 성격에 따라 1. 1차문헌, 2. 단행본, 3. 논문 순으로 명기한다.
2) 다음으로 언어에 따라 한국어, 해당언어(중국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 영어 등의 순서로 배열한다.
3) 같은 저자가 여러 저술을 표기하는 경우 발행 연도의 순으로 배열하되 맨 위의 것만 저자명을 표기하고, 아래의 것은 저자명을 표기하지 않고 _______로 표시한다. (아래 사례 참조)


(사례)
1) 1차문헌

미국사연구회, 『미국 역사의 기본 사료』, 소나무, 1987.
王安石, 『臨川先生文集』, 中華書局 香港分局, 1971.
王安石, 『王文公文集』(上下), 上海人民出版社, 1974.
Lipgens, Walter(ed.). Documents on the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Vol.1, Berlin; New York, 1985.
Vernadsky, George(ed.). A Source Book for Russian History from Early Times to 1917, New Haven, 1972.

2) 단행본
박성래, 『한국과학사상사』, 책과함께, 2012.
Dobb, Maurice.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New York, 1947.

3) 논문
권태억, 「통감부설치기 일제의 조선 근대화론」, 『國史館論叢』53, 1984.
_______, 「통감부시기 일제의 對韓 농업시책」, 『노일전쟁 전후 일본의 한국침략』 , 일조각, 1986.
이은순, 「日帝時代 農村女性의 生活과 民間信仰」, 『國史館論叢』83, 1999.
임영상, 「동방정교회의 역사적 전개」, 『외대사학』12, 2000.
최갑순, 「中國의 城隍 信仰」, 『명청사연구』7, 1997.
Malowist, M. “Poland, Russia and Western Trad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Past and Present. Vol.13, 1958, pp.28-41.
Rossabi, Morris. “The Decline of the Central Asian Caravan Trade,” Tracy J. D. (ed.). The Rise of Merchant Empires. Long-Distance Trade in the Early Modern World, 1350-1750 , Cambridge, 1990.

 


3. 논문 작성 세부 규정

1) 맞춤법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문교부 고시 제88-1호 : 1988. 1)을 따른다.

2) 저자 표시
(1) 단독 논문 : 저자의 성명과 소속을 표시한다.
(2) 공동 논문 : 저자 표시 형태는 단독 논문과 같고, 그 역할의 비중에 따라 책임 저자, 교신 저자, 공동 저자를 구분하여 명시한다.

3) 논문 제출자의 성명은 한글로 표시하고, 외국인의 인명(人名)은 원어 그대로 쓴다.

4) 본문, 영문 초록의 글자 모양, 문단 모양, 용지 설정은 다음과 같다.

본문, 영문 초록

글자 모양

문단 모양

용지 설정

글꼴: 문체부 바탕, 문체부 돋음체, 한자 SimSun

장평: 100

자간: -13

크기: 10

왼쪽여백: 0

오른여백: 0

들여쓰기: 10

줄 간격: 175

문단 위: 0

문단 아래: 0

낱말 간격: 0

정렬방식: 혼합

용지종류: 150x225

용지방향: 보통

여백주기

위 쪽: 20

아래쪽: 30

왼 쪽: 20

오른쪽: 20

머리말: 13

꼬리말: 0

제 본: 0


5) 초록은 150-200단어의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한다. 한글로 작성한 원고는 국문초록을 가장 첫 장에 제시하고 영문초록은 ‘참고문헌’ 다음 부분에 제시하며, 영어로 작성한 원고는 영문초록을 가장 첫 장에 제시하고 국문 초록은 ‘참고문헌 다음 부분에 제시한다. 국문과 영문초록 하단 부분에는 5개 내외의 중요단어(key words)를 한글 혹은 영어로 제시한다.
6) 제목의 번호 구분, 글자 모양, 문단 모양은 다음과 같다.

번호 구분

글자 모양

문단 모양

1단계 : Ⅰ, Ⅱ, Ⅲ…

글꼴: 문체부 바탕

크기: 13

속성: 진하게

들여쓰기: 0

줄 간 격: 175

정렬방식: 왼쪽

2단계 : 1, 2, 3…

글꼴: 문체부 바탕

크기: 11

속성: 진하게

들여쓰기: 0

줄 간 격: 175

정렬방식: 왼쪽

3단계 : 1), 2), 3)…

글꼴: 문체부 바탕

크기: 10

속성: 보통

들여쓰기: 0

줄 간 격: 175

정렬방식: 왼쪽

4단계 : (1), (2), (3)…

글꼴: 문체부 바탕

크기: 10

들여쓰기: 0

줄 간 격: 175

정렬방식: 왼쪽

5단계 : (가), (나), (다)…

글꼴: 문체부 바탕

크기: 10

들여쓰기: 0

줄 간 격: 175

정렬방식: 왼쪽

단순한 나열 : ①, ②, ③…

글꼴: 문체부 바탕

크기: 10

들여쓰기: 0

줄 간 격: 175

정렬방식: 왼쪽


7) 인용 :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아래  와 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비우고 좌우로 각각 3글자씩 들여 쓴다. 인용 글자 모양의 글꼴, 장평, 자간은 본문과 같고 크기는 9로 한다.

8) 주석 : 주석은 각주를 사용하고, 각주는 해당 문장 끝에 각주 번호를 달아 같은 면 하단에 그 내용을 적도록 한다. 각주 모양의 글꼴, 장평, 자간은 본문과 같고 크기는 9로 한다.

9) 표와 그림 : 표와 그림의 표기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진한 글자로 표는 상단 중앙에 <표 1>, 그림은 하단 중앙에 [그림 1]과 같이 번호와 함께 기재한다.
(2) 표와 그림은 원본 그대로를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그려서 제출한다.
(3) 표를 그릴 때 최상단만 굵게 그리며, 좌?우측과 안쪽에는 선을 그리지 않는다(부득이한 경우, 선을 그릴 수 있다).
(4) 통계 결과표를 작성할 때, 아래의 <표 1>과 같이 통계치(예 : t, F, M, SD)는 모두 이탤릭체로 하고, 유의도 수준 p는 표 하단 왼편에 제시한다.


<표 1> 자아개념에 따른 유창성, 융통성 점수의 t 검증 결과

창의성

자아개념수준

N

M

SD

t

유창성

저 자아개념

52

2.93

0.48

-4.85*

고 자아개념

52

3.35

0.40

융통성

저 자아개념

52

3.03

0.36

-5.08**

고 자아개념

52

3.39

0.35

*p<.05 **p<.01



Ⅲ. 논문의 저작권


『沽山中國學報』에 논문을 게재하고자 할 때에는 본 연구소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http://submission.schcisc.or.kr/) 안의 ‘저작권 이양동의서’에 동의하여야 한다. 『沽山中國學報』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과 출판권은 본 연구소가 가지며,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인쇄 매체로 출판할 경우 혹은 전자적 형태의 매체로 제작하거나 판매할 경우, 본 연구소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부 칙


제1조 (시행일) 이 규정은 2019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